티스토리 뷰

교육

맞추다 맞히다 맞춤법 알아보자!

좋은 정보 많이 알아가세요. 2018. 5. 20. 14:35



(출처: 프리큐레이션 홈페이지)


한국어가 모국어이지만 가끔 굉장히 어렵다고 느낄때가 많은데요. 특히 비슷한 단어로 보이지만 엄연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을때가 그렇습니다. 오늘은 그 중에서 하나를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


맞추다


1.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대어 붙이다.

2. 둘 이상의 일정한 대상들을 나란히 놓고 비교하여 살피다.

3. 서로 어긋남이 없이 조화를 이루다.


맞히다


1. ‘맞다2(4. 자연 현상에 따라 내리는 눈, 비 따위의 닿음을 받다)’의 사동사.

2. ‘맞다2(어떤 좋지 아니한 일을 당하다)’의 사동사.

(출처: 네이버 국어사전)




(출처: 프리큐레이션 홈페이지)


간단한 예를 한 번 살펴 볼텐데요. 학창시절에 시험을 보고 난 직후, 공부를 잘하는 친구의 답안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많은 친구들이 그 근처로 모이는 경우를 많이 보셨을텐데요.


정답을 맞추다? 맞히다?

답안지를 맞추다? 맞히다?


굉장히 헤깔리는 표현입니다.


정답을 맞히다.

답안지를 맞추다.


가 정확한 맞춤법이니 평소 사용할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
이상으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




'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설민석 한국사 무료강의 보는법 알아보자!  (0) 2017.11.13
댓글